Home Search Results 저가 마케팅으로 불황 돌파 한다는데 가능할까?
3 days ago
11 Views

저가 마케팅으로 불황 돌파 한다는데 가능할까?

아래 기사는 미주중앙일보 2025년 4월16일자 기사입니다.
—-
고물가 시대, 소비자들이 외식을 줄이면서 LA 한인타운 요식업계가 ‘저가 마케팅’으로 불황의 돌파구를 모색하고 있다.  
 
경기 침체와 외식비 상승으로 한인 소비자들의 지출이 위축되자, 업주들은 통닭 1+1, 5달러 분식, 10달러 설렁탕 등 저가 메뉴를 앞세워 고객 유입에 나서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고객 입장에서는 장을 봐서 집에서 해 먹는 것보다 낫다고 느껴야 지갑을 여는 시대”라며 “가격 경쟁력 외에는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이어 “저가 메뉴는 마진이 거의 없지만, 브랜드를 알리고 신규 고객 유치를 할 수 있다”며 “소비자의 심리를 자극하는 가격 전략이 경기침체 속에서 매우 효과적인 마케팅 수단”이라고 덧붙였다.
실제로 LA 한인타운 내 다수 식당이 저가 메뉴 전략을 앞세워 고객 확보에 나서고 있다. 대표적인 업소로는 ‘오늘통닭’, ‘엄마집’, ‘남산’, ‘LA왕발’, ‘설가’, ‘코리아타운 식당’, ‘서울분식’ 등이 꼽힌다.
 
치킨 프랜차이즈 ‘오늘통닭’은 통닭 1+1 프로모션(31.99달러)을 비롯해 삼계탕(15.95달러), 프라이드 치킨 런치세트(9.99달러) 등을 원가에 가까운 가격에 제공하며 한 달 만에 고객 수가 40% 이상 증가했다.  
 
오늘통닭 피터 정 대표는 “한국산 한방재료 8가지를 넣은 삼계탕을 15.95달러에 판매하면서 타인종 고객이 많이 유입됐다”며 “통닭 1+1 이벤트 후 치맥을 즐기려는 중년층 고객이 늘어 매장 음악도 당시 인기곡으로 바꿨다”고 전했다.
 
직장인들이 점심시간에 자주 찾는 ‘남산’은 찐만두(10달러), 비빔밥(13달러), 잔치·비빔국수(12달러), 돈가스(15달러) 등 가성비 메뉴를 다양하게 구성했다.  
 
업소 측은 “물가 상승을 극복하기 위한 특별 이벤트”라며 “부담 없는 한 끼를 원하는 고객을 위해 착한 가격대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엄마집’은 오전 8시부터 10시 30분까지 아침 메뉴로 동태찌개, 미역국, 우거지 해장국, 김치콩나물국 등을 9.99달러에 제공하고, 설렁탕은 온종일 10달러에 판매 중이다.  
 
엄마집 장동주 대표는 “서울 출신 셰프가 고향의 맛을 살려 요리한다”며 “브런치처럼 즐기거나 요일별 아침 메뉴를 찾는 고객들이 많다”고 말했다.
 
‘설가’는 차돌 설렁탕을 19.99달러에서 9.99달러로 할인 판매하고 있으며, 개업 2주년을 맞은 ‘LA왕발’은 사골 순대국, 돼지국밥, 해장국 등을 온종일 11.99달러에 제공 중이다.
 
‘코리아타운 플라자’ 내 ‘코리아타운 식당’도 수육국밥을 9.99달러에 내놓으며 화제를 모았다. 업소 관계자는 소셜미디어에서 “정말 마진이 거의 없는 가격”이라며 “고기양도 넉넉해서 투고 박스를 요청하는 고객이 많지만, 별도 비용을 받지 않는다”고 말했다.
 
분식 전문점 ‘서울분식’은 닭강정, 떡볶이, 꼬치어묵, 튀김 모둠, 우동, 부대라면 등을 메뉴 사이즈에 따라 5달러, 10달러, 15달러로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해 저가 경쟁에 뛰어들었다.  
 
외식업 전문가들은 “저가 전략은 단기적으로 고객 유입에 효과가 있지만, 브랜드 가치와 수익성을 유지하려면 지속 가능한 메뉴 포트폴리오가 필요하다”며 “가격 외에도 품질과 고객 경험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출처>
—-
저가 마케팅으로 성공하려면 저가마케팅의 장단점을 정확히 알고 그에 맞는 성고 전략을 구상하고 실행해야 합니다. 

저가 마케팅의 장점

  1. 불황기 소비자 니즈에 부합
    경기가 어려울수록 소비자들은 가격에 민감해집니다. 이때 저렴한 가격은 큰 매력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2. 고객 유입이 빠릅니다
    싸다는 인식은 호기심과 관심을 유발해, 초기 고객을 쉽게 유입시킬 수 있습니다.
  3. 입소문을 통한 마케팅 효과
    가성비 좋은 곳이라는 평판은 자연스럽게 바이럴 마케팅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저가 마케팅의 단점

  1. 수익성이 낮습니다
    단가는 낮은데 고정비(임대료, 인건비 등)는 그대로이기 때문에, 일정 판매량 이상을 확보하지 못하면 손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2. 브랜드 이미지에 부정적 영향 가능
    가격이 너무 낮을 경우, 품질이 떨어질 것이라는 인식이 생기거나싼 곳으로만 각인될 위험이 있습니다.
  3. 고객 충성도가 낮을 있습니다
    가격 때문에 방문한 고객은 더 싼 곳이 생기면 쉽게 떠나기 쉽습니다.

 

불황 속에서 저가 전략을 성공시키기 위한

  1. 일부 상품만 저가로 운영하기
    전 제품을 저렴하게 만들기보다는, 몇 가지미끼 상품만 할인해 고객을 유도하는 방식이 좋습니다.
  2. 추가 옵션이나 업셀링 전략 활용
    기본 제품은 저렴하게 제공하되, 추가 선택지(사이즈 업, 토핑 추가 등)로 수익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3. 정기 구독 모델 도입
    소액이더라도 정기적으로 결제하게 만들어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4. 가성비 강조 마케팅
    이 정도 퀄리티를 이 가격에?”라는 메시지를 강조하면 고객 만족도와 재방문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5. 대상 맞춤형 할인 제공
    전 고객을 대상으로 하기보다는, 택시 기사님, 소방관, 선생님 등 특정 집단에게 혜택을 드리면 이미지도 좋아지고 효율적인 비용 운영도 가능합니다.

 

예시 제안:

카페를 운영하신다면,

  • 오전 7~9시 타임에는 커피를 할인된 가격에 제공하거나,
  • 특정 직업군을 위한 무료 또는 할인 쿠폰을 제공하며,
  • 첫 방문 고객에게 혜택을 주는 방식도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저가 마케팅은 불황 타개책이 있지만, 전략적이고 지속 가능하게 운영해야만 효과를 있습니다.


운영하시는 업종이나 현재 상황을 알려주시면 더욱 구체적인 전략을 함께 고민해 드릴 수 있습니다.

비즈니스/취업
자영업/창업

답글 쓰기

You must Log In or Register to post a review
Report abuse